건축목공기능사 취득 및 실내인테리어 실무자 양성 과정, 어제 OT가 끝나고 오늘 드디어 실질적인 첫 이론 수업을 들었습니다. 목공의 기본인 목재 용어(다루끼, 투바이, 오비끼)와 사이즈, 단위에 대해 배운 내용을 정리하며 복기해 봅니다.
1. 현장 목재 실측: 이름과 실제 크기는 다르다!
수업에서 사용한 주요 각재들의 명목 치수와 실제 측정한 치수입니다.
이름 | 명목 치수 (주문/호칭) | 실측 치수 (가공 후 실제) | 길이 |
다루끼 | 3cm × 3cm | 2.7cm × 2.7cm | 3.6m |
투바이 | 7cm × 3cm | 6.7cm × 2.7cm | 3.6m |
오비끼 | 9cm × 9cm (세 치 각재) | 8.1cm × 8.1cm | 3.6m |
- (세 치 각재) 의미: '세 치(寸)'는 약 9cm(3 x 3.03cm)를 의미하며, '각재'는 네모난 목재를 뜻합니다. 즉, 오비끼 중에서 명목상 9cm x 9cm 크기인 것을 부르는 또 다른 이름/설명입니다. 현장에서는 '산승각(산승각재)'이라고도 합니다.
- 핵심: 목재는 제재 후 건조 및 대패 가공 과정에서 수축하므로, 실제 사용하는 실측 치수는 명목 치수보다 항상 작습니다. (보통 2~3mm 이상 차이)
2. 왜 명목 치수와 실측 치수가 다를까?
구분 | 설명 |
명목 치수 | 제재소에서 처음 잘랐을 때의 치수 (수분 포함, 가공 전) |
실측 치수 | 건조되고 표면 가공(대패질)을 마친 후, 실제 사용하는 치수 |
- 이유: 1) 건조 수축: 목재 안의 수분이 마르면서 크기가 줄어듭니다. 2) 가공 여유: 표면을 매끄럽게 대패질하면서 추가로 깎여나갑니다.
- 현실: 목재상이나 현장에서는 주문 편의상 명목 치수로 부르는 경우가 많습니다. (예: "3x3 다루끼 주세요" → 실제로는 2.7x2.7cm 각재를 받음) 실내 공사 시 정확한 실측 치수 확인은 필수입니다.
3. 전통 단위: 치, 자, 재(사이)
현장에서는 여전히 전통 단위를 많이 사용합니다. 정확한 환산 값과 함께 알아둡시다.
단위 | 정확한 환산 | 약식/참고 |
한 치 (寸) | 3.03cm (30.3mm) | 약 3cm, 손가락 한 마디 |
한 자 (尺) | 30.3cm (303mm) | 약 30cm, 일반 자 길이 |
세 자 (三尺) | 90.9cm (909mm) | 약 91cm |
한 재 (才/사이) | (부피 단위) 아래 참고 | 목재 거래 시 부피 계산 단위 |
- 정밀도: 정밀 계산이나 설계 시에는 정확한 환산 값을 사용하고, 일상 소통 시에는 근사치를 사용하기도 합니다.
- 정확한 값 (3.03cm, 30.3cm) 사용 예시:
- CAD 도면 작업, 정밀 가구 설계 시 치수 입력
- 여러 부재를 정확히 맞춰야 할 때 누적 오차 방지
- 자재 소요량 정밀 계산 시
- 근사치 (약 3cm, 약 30cm) 사용 예시:
- 현장에서 "다루끼(한치) 하나 줘" 등 구두로 소통 시
- "대충 두 자 정도" 처럼 눈대중으로 어림잡을 때
- 머릿속으로 빠르게 길이를 가늠할 때 (예: 12자 ≈ 3.6m)
- 정확한 값 (3.03cm, 30.3cm) 사용 예시:
4. 목재 치수 읽는 순서: 두께 x 폭 x 길이
목재 치수를 부르거나 표기할 때 혼동을 막기 위한 일반적인 순서입니다. 보통 목재의 단면을 기준으로 가장 좁은 방향을 두께(세로, Thickness), 넓은 방향을 폭(가로, Width), 그리고 목재가 길게 뻗어나가는 방향을 길이(Length)라고 합니다.
- 표기 순서: 일반적으로 두께(세로) × 폭(가로) × 길이 순서로 표기하는 것이 표준적이며, 소통 시 혼동을 줄여줍니다. (예: 다루끼: 2.7cm × 2.7cm × 3.6m)
- 주의: 현장에서는 간혹 폭을 먼저 말하는 경우도 있으니, 작업 시에는 항상 재확인하는 습관이 좋습니다.
5. 현장 표현 해석법
- "한치 한치 (또는 한치 각)": 단면이 1치 × 1치 (약 3.03cm x 3.03cm) 인 각재 (다루끼)
- "한치 한치 여섯자": 단면 1치x1치, 길이 6자 (약 181.8cm) 인 각재
- "두치 세치 열두자": 단면 2치(6.06cm) x 3치(9.09cm), 길이 12자 (약 3.6m) 인 각재
6. 목재 부피 계산: 재(才, 사이) 계산 공식
목재 거래 시 부피 단위인 '재(사이)'를 사용합니다.
- 1 재(才)의 기준: = 1치 × 1치 × 12자 (열두 자) 부피
- 계산식 기준: = 30mm × 30mm × 3600mm = 3,240,000 ㎣
- (중요: 실제 1치=3.03mm지만, '재' 계산의 기준으로는 관례상 1치=30mm, 1자=300mm(그래서 12자=3600mm)를 적용합니다. 혼동 주의!)
- 계산 공식:
- 재(才) 수 = [ 세로(mm) × 가로(mm) × 길이(mm) ] ÷ 3,240,000
- 활용: 이 '재(사이)' 단위는 목재를 대량으로 구매하거나 큰 프로젝트의 자재 비용을 예측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. 간단한 실내 작업에서는 필요한 목재의 총 길이(m)나 개수로 산출하는 경우도 많습니다.
실측 기준으로 예제 계산:
목재 (실측, mm) | 계산 (㎣) | 결과 (약) |
27×27×3600 (다루끼) | 2,624,400 ÷ 3,240,000 | 0.81 재 |
67×27×3600 (투바이) | 6,523,200 ÷ 3,240,000 | 2.01 재 |
81×81×3600 (오비끼) | 23,599,200 ÷ 3,240,000 | 7.28 재 |
- 가격 예시 (이론 vs 현실): 만약 1재당 8,000원이라면, 다루끼(3.6m) 1개는 이론적으로 약 0.81재이므로, 단순 계산 시 약 6,480원 (8000 * 0.81) 입니다. 하지만, 실제 구매 시에는 ①재단 손실 등(로스율)을 감안하여 넉넉히 주문해야 하고, ②목재상이 개당, 묶음(번들), 또는 특정 재 단위(예: 1재)로 판매하기 때문에, 계산된 이론 가격보다 실제 지불 비용은 더 높을 수 있습니다.
(내용에 대한 피드백이나 더 좋은 팁은 언제나 환영입니다!)
'초보 목수 성장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초보 목수 성장기] 45° 표시선 스케치 + 양날톱 45° 마이터 컷 (0) | 2025.05.19 |
---|---|
[초보 목수 성장기] 대패 이야기 ②: 어미날·덧날 연마 (0) | 2025.05.15 |
[초보 목수 성장기] 대패 이야기 ①: 바닥 세팅 & 오일링 (0) | 2025.05.13 |
[초보 목수 성장기] 목재 이야기 ①: 원목의 종류, 구조 및 특성 (1) | 2025.05.08 |
[초보 목수 성장기] 첫 실습: 연귀자 활용법과 깔끔한 톱질 기본기 다지기 (0) | 2025.05.01 |